소수산봉, 족은물메
오름떠돌이, 오름답사, 오름후기, 소수산봉, 소수산봉_224, 족은물메, 족은물뫼, 가민베뉴3, Crop, Curves, Cut_Out, Poster_Edges 소수산봉, 족은물메 소수산봉은 신양교차로에서 신양리 방향으로 300여m 가다보면 길 왼쪽에 “신양교회”와 “성산바다식당" 이 보입니다. 적당한 곳에서 U턴하여 성산바다식당 옆 조그만 길로 들어서면 소수산봉이 입구가 보이는데 주차할 곳이 마땅치 않으니 요령껏 주차를 하고 올라가야 합니다. 걷기 시작하여 2~3분이면 길 우측에 묘가 보이는데 묘 우측으로 올라가면 희미하게 길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5분도 채 되지 않아 정상에 도착합니다. 길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데 저는 왼쪽으로 내려왔습니다만 나중에 위성사진을 확인해 보니 북쪽으로 파인 말굽형 오름이..
2025. 5. 25.
월랑지, 월랑지오름, 진남못
오름떠돌이, 월랑지, 월랑지_223, 월랑지오름, 진남못, 오름답사, 오름후기, 제주습지, 습지답사, 가민베뉴3, Crop, Curves, Cut_Out, Poster_Edges 월랑지오름, 진남못 월랑지오름은 “김종철의 오름나그네(1995)”라는 책에 보면 “북쪽 기슭에 초승달처럼 생긴 작은 오름이 하나 딸려 있다. 표고 260m에 연장 650m의 갸름한 등성마루가 다소 북향으로 휘어졌으나 동쪽에서 보면 작고 둥그스름한 것이 마치 어미에 딸린 새끼오름 같다. 북동쪽 들에 ”못벵이물“이라고 부르는 못이 있다.” 라고 소개되어 있습니다. 초승달을 닮았다 하여 “월랑지”라고 불린다는데 위성사진으로 보기에도 남쪽으로 드러누운 초승달처럼 생겼습니다. 오늘 답사 목적은 월랑지오름과 오름 남쪽에 있는 "진남못"..
2025. 5. 25.
한라생태숲에서 절물휴양림까지 트레킹
오름떠돌이, 한라생태숲, 숫모르숲길, 장생의숲길, 절물휴양림, 트레킹후기, 산남새마을금고, 산남초록산악동호회, MG산남초록산악동호회, 정기산행, 가민베뉴3, Crop, Curves, Cut_Out, Levels, Pixelate_Mosic, Poster_Edges 한라생태숲에서 절물휴양림까지 트레킹 MG산남 초록산악동호회 5월 2주차 정기산행으로 한라생태숲에서 절물휴양림까지 트레킹(약 6km/2h) 코스를 걸었습니다. 회원 한 명이 25분이나 지각하는 바람에 늦게 출발하여 따라잡느라 출발부터 빨리 걸으니 약간의 오버페이스... 샛개오리오름에서 막걸리 딱~~ 한잔(앞으로 산행 때에 막걸리 마시지 않기로 다짐) 마시고 다시 출발, 조금 성에 차지는 않았지만 목적지(절물휴양림)에 도착하여 오늘 산행을 마칩..
2025. 5. 19.
오랜만의 로드라이딩, 태흥CU 왕복
오름떠돌이, 쇠소깍인증센터, 태흥CU, 라이딩후기, 메리다스컬트라5000, 가민엣지1040, 제주환상자전거길, Crop, Curves, Cut_Out, Poster_Edges, Liquify, Pixelate_Mosic 58,000년만의 로드라이딩 태흥CU왕복 ( 약 40km/3h ), 옛 기록을 보니 정확히 1년만의 로드라이딩 ( 해거름마을 - 다락쉼터 인증센터 왕복 https://hshell.tistory.com/15944400 ) 이었네요. 지난 주 친구 딸 결혼식에서 술 마시다가 자전거 라이딩으로 화제가 돌아서 급~ 성사된 번개라이딩, 서로의 실력을 몰라서 간단히 태흥CU 왕복하기로 약속을 정하고 출발합니다. 저는 오랜만의 라이딩이라 초기화된 몸이라서 딱~ 알맞게 탄 것 같은데, 다른 친구들은..
2025. 5. 6.
죽절초
오름떠돌이, 죽절초, 멸종위기2급, 쌍떡잎식물, 홀아비꽃대과, 죽절초속, 상록활엽아관목, 국가표준식물목록, 엥글러, APG_IV, Crop, Curves 죽절초 ( Sarcandra glabra (Thunb.) Nakai ) 2023년 12월 지인에게서 얻어온 죽절초가 24년 무더위에 여름을 못 넘기나 싶었는데 9월부터 새순이 돋아나기 시작하더니 이제는 전지를 해야할 정도로 많이 회복됐습니다. 2024년 9월 죽절초 (https://hshell.tistory.com/15944407) 부디 올 여름도 잘 견뎌내서 가을에 꽃이 피고 열매 맺기를 희망해 봅니다. 2023년 12월 지인에게서 얻어 온 죽절초, 풍성하게 잘 자라고 있는 것을 2024년 9월 정말 무더웠던 여름을 버티지 못해 이파리가 다 떨어져..
2025. 5. 2.
송당저수지, 송당곶자왈
오름떠돌이, 트레킹후기, 송당저수지, 송당곶자왈, 곶자왈, 가민베뉴3, 구글어스, 가민엣지1040, Crop, Curves 송당곶자왈, 송당저수지 토산리에서 농장을 운영하는 친구가 있어서 동쪽으로 오름이나 걷기를 자주 같이하는데 오늘은 송당저수지와 송당곶자왈을 걷고 왔습니다. 총거리 4.2km 정도로 그리 길지는 않지만 한 시간 정도 숲길을 걸으며 힐링을 느끼기에는 그만입니다. 제주도의 특정한 숲 지대를 일컫는 곶자왈은 제주 생태계의 허파라고 불린다. 곶자왈은 해발 200~400m 내외 중산간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데, 지질학적 특성에 따라 제주 4대 곶자왈로 구분한다. 한경~안덕 곶자왈 지대, 애월 곶자왈 지대, 조천~함덕 곶자왈 지대, 구좌~성산 곶자왈 지대 이렇게 4가지가 있다. 송당곶자왈은 구좌~..
2025. 3. 31.
널개오름, 판포오름, 마중오름, 마중이오름
오름떠돌이, 널개오름, 널개오름_221, 판포오름, 마중오름, 마중오름_222, 마중이오름, 오름이야기, 오름답사, 오름후기, 가민베뉴3, 구글지도, Crop, Curves, Cut_Out, Poster_Edges, Sponge 널개오름, 마중오름 오름 도장깨기를 하다 보니 나 홀로 서있고 비고도 그리 높지 않은 오름이 대부분입니다. 오늘 오른 두 오름은 대부분이 묘지이고 마중오름의 어원은 뚜렷치 않은 오름이었습니다. 그리고 경로를 알 수 없어 타인의 GPX 로그기록을 받아서 따라 올라야 하는데, 검증되지 않은 코스일지도 모르고 또 잘못 들어서면 한없이 헤매야하는 일이 다반사라서 집중하고 걸어야 합니다. (널개오름(판포오름)에서 두 번의 헤매임 그리고 손등 긁힘) 출처 : 김종철 오름나그네(1995)..
2025. 3. 29.
갯거리오름, 선소오름
오름떠돌이, 갯거리오름, 갓골오름, 갯거리오름_219, 선소오름, 선소오름_220, 오름이야기, 오름답사, 오름후기, 산행답사, 산행후기, 트레킹답사, 트레킹후기, 가민베뉴3, 구글지도, 구글어스, Crop, Curves, Cut_Out, Filter_Gallery, Poster_Edges 갯거리오름, 선소오름 “김종철의 오름나그네(1995)”에 보면 두 오름은 하나의 오름이고 본디 명칭은 “갓골오름”이라고 해석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갓골”은 산기슭이라고 합니다. 오름의 산기슭에 "갓골"이라는 마을이 있어서 갓골오름이고 이 말이 변형되어 갓거리오름, 갯거리오름 등으로 변했다고 하네요. 하나의 오름에 두 개의 화구를 가진 오름이고 오름 가운데로 길이 생기면서 자연스럽게 두 개의 오름으로 나누어지게 되었다..
2025. 3. 24.
오조리 지질트레일 & 바우오름, 식산봉
오름떠돌이, 바우오름, 바우오름_218, 식산봉, 일출봉, 오조리, 오조리 지질트레일, 오름이야기, 오름후기, 트레킹후기, 제주올레, 가민베뉴3, 드립커피, Crop, Curves 오조리 바우오름, 식산봉 2025년 오름 도장깨기 두 번째 목표는 “선소오름, 갯거리오름”으로 정했는데, 어제 친구와 같이 점심 먹으면서 “내일 같이 오름가자”라는 말에 동쪽에 과수원에 있을 거라는 얘기에 동쪽에 있는 식산봉으로 정했습니다. 김종철의 오름나그네라는 책을 보면서 본디 이름이 “바우오름”이라는 것도 알았네요. 오조리 포구와 양어장으로 쓰였었다는 인공호수(?)를 돌아 2.5km를 걸으면서 제주는 참~ 아름답고 그동안 모르고 지나치고 있는 비경들이 아직도 많이 엄~청 많이 남아있다는 것에 좀 더 열심히 걸어야겠다..
2025. 3. 23.
제주올레 19코스와 함덕 서우봉
오름떠돌이, 함덕서우봉, 함덕서우봉_217, 서우봉, 서모봉, 오름후기, 산행후기, 트레킹후기, 제주올레, 올레길, 산남새마을금고, 산남초록산악동호회, MG산남초록산악동호회, 가민베뉴3, 구글지도, 구글어스, Crop, Curves, Image_Rotation, Motion_Blur, Pixelate_Mosic 제주올레 19코스와 함덕 서우봉 MG산남 초록산악동호회 3월 2주차 정기산행으로 제주올레 19코스 전반부 9.5km를 걸었습니다. 본래 올레 걷기를 좋아하지 않는데 올레길 중간에 함덕 서우봉이 있어서 올해 오름 도장깨기의 시작이란 의미로 참가하였습니다. 걷다 보니 처음 보는 제주풍경과 유적 & 명소들로 인하여 나름 재미있기도 합니다. 그중에 제 관심을 끄는 것은 북촌에도 제주4.3길이 있었다는,..
2025.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