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987 오름 - 동검은오름 - 20070527 동검은오름 2007년 5월 27일 이 오름은 구좌읍 송당리에 있는 오름으로 해발 340m, 높이 115m, 둘레 3,613m, 면적 46만 6283㎡로, 건영목장 동쪽에 손석이오름과 나란히 있다. 사면이 둥그렇고 층층이 언덕으로 형성되어 사방으로 뻗어나간 모습이 거미집과 비슷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조천읍 선흘리에 있는 검은오름(서검은오름)과 구분하여 동검은오름, 동검은이라고도 하며, 한자로는 동거문악(東巨文岳), 동거문이악(東巨文伊岳), 주악(蛛岳)으로도 표기한다. 정상의 피라미드형 봉우리를 비롯해 돔형 봉우리 등 4개의 봉우리가 있고, 분화구는 원추형 2개, 말굽형 1개가 있는 복합형 화구를 이룬다. 기슭에는 오름새끼(이류구)들이 수없이 딸려 있어 장관을 이룬다. 처음.. 2007. 5. 27. 첫째 둘째를 같은 학원에 보내지 마세요 첫째 둘째를 같은 학원에 보내지 마세요 [조선일보 2007-05-21 07:50] 심리학자 아들러는 첫째 아이를 ‘폐위된 왕’에 비유하였다. 첫째 아이는 동생이 태어남과 동시에 왕위에서 물러나게 된다. 왕의 권력을 빼앗긴 사람은 단순히 누리던 특권을 못 누리는 불편만 겪는 것이 아니다. 새로 등장한 왕이 언.. 2007. 5. 21.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방법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방법 1. 잠들기 잠자리에서 손바닥을 마주 하여 싹싹 20회 비벼댄다. 이것은 손에 집중되어 있는 각종 신경계통을 자극하고 온열 감을 줌으로서 온몸이 따 뜻한 느낌을 주게 되는데, 우리는 추울 때 무심결이 손을 비비는 것은 이와 같은 이 유 때문이다. 손을 마주 비비면서 손바.. 2007. 5. 7. 문상금 - 어느 봄날의 단상 - 20070413 어느 봄날의 단상(斷想) 문상금 2007년 04월 13일 서귀포신문 ▲ 삽화/이왈종 화백 벚꽃 눈이 내린다. 분분히, 기쁨 하나 슬픔 하나 작은 절망 하나 꽃샘 추위와 모진 바람을 뚫고 꽃봉오리들은 하루 사이 활짝 피어났다. 그리고 사나흘 이 세상에서의 짧은 소풍을 끝내고 한 잎 두 잎 내 머리에 어깨에 구.. 2007. 4. 13. 문상금 - 불평과 즐거움의 차이 - 20070309 불평과 즐거움의 차이 문상금 서귀포신문 2007-03-09 꿈틀꿈틀 기지개 켜는 소도시의 왕벚 나뭇가지 너머 좍좍 갈라진 하늘 사이로 삼월이 다가왔다. 회색의 구름들은 자꾸만 짙어지더니 한 두 방울씩 빗방울을 떨어뜨리고 사라졌다. 막내 딸애의 초등학교 입학식이 있었다. 이젠 손이 좀 덜가겠지 하는 .. 2007. 3. 9. 핸드폰 사용에 유익한 정보 상대방에게 자기번호 안 뜨게 하는 방법 휴대폰에서는 *23#을 누르고 상대방 전화 번호 일반전화에서 악용하면 클나요~ 169 누르고 상대방 전화 번호 요즘 발신자 표시제한으로 전화들 많이 오시죠? 저도 짜증나도록 오네요~ 그래서 나름대로 방법을 찾아 보았습니다! 발신자 표시제한으로 전화 올 때 알.. 2007. 3. 6. 금연인생 6년차 - 비법을 소개합니다 '금연인생 6년차' 비법을 소개합니다 [오마이뉴스 이민선 기자 2007-01-28 10:56] ⓒ2007 이민선 "너 얼마나 더 산다고 그러냐! 피우던 거 그냥 계속 피워라." "자! 한 모금만 쭉 빨아봐. 괜찮아 한 모금만 피우고 또 끊어." "너 치사하게 차 한번 태워주면서 유세 떨기냐? 냄새 나면 얼마나 난다고." "억울하면 너.. 2007. 1. 28. 스트레스 이기는 82가지 방법 - 펀글 스트레스 이기는 82가지 방법 가끔 세상을 거꾸로 바라보라 01 노트에 적기 문자는 감정을 객관화시킨다. 느끼는 감정을 글로 옮기는 것만으로도 그 감정에 대한 통제력을 얻게 된다. 02 소리 내어 운다 울음은 스트레스에 대항하는 타고난 방어기제다. 절망적인 생각이 들면 소리를 내어 펑펑 운다. 03 .. 2007. 1. 24. 초보 사진작가를 벗어나기 위한 20가지 - 20070122 초보 사진작가를 벗어나기 위해 명심해야 할 20가지 1.자기 카메라의 한계를 항상 알고 있어야 한다. 카메라는 가격이나 여러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기능 여부 등이 다르다. 필자가 처음 카메라를 접했을 때 사진이 잘 찍히지 않는다고 투덜거리며 카메라 탓을 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그 이유는 .. 2007. 1. 23. 문상금 - 겨울나무 이야기 - 20070111 겨울나무 이야기 시인 문상금 2007년 01월 11일 서귀포신문 삽화 이왈종화백 심한 몸살을 앓았다, 밤새도록. 그것은 발 끝에서부터 심연모를 떨림이 되어 온 몸을 흔들더니, 심지어 내 영혼까지 송두리째 흔들어댔다. 겨울나무가 되고 싶었다. 늘 겨울나무를 꿈꾸었던 때가 있었다. 바람 불고 눈보라 속.. 2007. 1. 16. 이전 1 ··· 87 88 89 90 91 92 93 ··· 99 다음